PROJECT

‌Project Note

나의 작업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서를 토대로 하여, 표적이 되는 기억을 회복하여 의식으로 가져오는 과정인 기억의 인출과정을 토대로 한다.
특정 풍경에 대해 느꼈던 과거의 감각을 단서삼아 그 풍경속 공간과 장소에 대한 기억을 의식으로 가져오고 편집과 재구성의 과정을 거쳐 시각적으로표현된다.
 
작업속에는 심리적으로 유대감과 친밀감을 가지는 풍경에 대한 분위기와 재해석이 담겨 있으며, 그 공간과 장소에 대한 기억과 반응의 기록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과거 기억과 현재를 계속 엮어가는 가운데 발생하는 기억의 허구성과 새롭게 내가 찾아가는 것들 사이에 연관성을 탐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새로운 환경에서 떠올려지는 과거의 기억에 대한 현재에 반응과 적응, 내가 마주하는 곳에 대한 기억과 심리적 연결점에 대한 의문들이 작업을 풀어나가는 시작이자 끝이다. ‘28 Jun1986 ’은 유학시절 낯선 환경에서 순간적으로 조우 했던 기억속 한 초상화에 대한 회상에서 비롯됐다. 이작업은 초상화를 보지 않은 상태에서 그 그림이 있던 공간의 분위기, 냄새, 향, 소리, 움직임 등이 기억되는 풍경을 단서삼아서 기억속 초상화를 재구성해내는 과정을 담고 있다.
그러나 한국으로 돌아와 실제 초상화를 확인한뒤 그것의 실제모습은 나의 기억과 전혀 다른것이었음을 알게 되었다. 이렇듯 회상으로 기억을 재구성한다는 것은 실제와 다른 어떤것을 만들고, 다름에도 불구하고 감정을 불러일으키고 때로는 그것이 진짜 인것처럼 만들수도 있다는 점이 흥미로우면서도, 오류의 여지없이 진실처럼 기록되는 것들에 대한 경계와 성찰 또한 작업을 통해 제시하고싶은 점이다.
 
기억은 소설같은 것이 아니라 소설이라는 프루스트의 말처럼, 나의 작업물들에는  몇몇의 사실정보를 단서로 만들어낸 초상화에 얽힌 허구적인 이야기가 있고, 실제로 있기도 한 인물, 그인물에 연관된 가상의 인물들, 실제의 풍경, 만들어낸 공간등이 등장하며  얽혀있다.  
’22 Jun 1986 @’은 이러한 작업과정을 보여준다. 이 작업은 앞의 작업과 다르게 초상화를 실제로 보고 있는 상태에서  떠올랐던 의문 들을 풀어가는 과정이다.  그림을 통해 떠올려지는 기억속 공간의 감각적인 기억들은 무엇이지?  이 그림을 만든 작가는 어떤 인물일까?작가는 어떤 장소에서 무슨느낌을 이그림에 담으려 했을까?  작업속에서 이런한 질문등을 하고 그 의문을 풀어 나가며 진행하였다.
이러한 작업의 화두를 가지고 아이슬란드 레지던시에 참여했을때, 특히 특정장소의 풍경과 내가 형성하게 되는 심리적유대감과 기억이 나의 작업에 반영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싶었다.

‘Olfasfuldor Smellscape (인지 심리적 후각의 풍경)’ 프로젝트는  ‘Smellscape’로 해석되는 풍경의 의미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Smellscape’ 란 특정장소를 마치 거대한 하나의 향수처럼 보는 관점이다. 예를들어 한지역에 고유한 산업이나 문화구조상 가지는 고유한 땅의 냄새, 즉 지반에서부터 올라오는 그지역만의 후각적 자극을, 향수에서 가장 지속력이 강하고 오래남는향인 베이스노트와 유사하다고 본다. 또한 사람들이 그지역에서 만들어내는 특징적인 향과 냄새를 베이스노트보다 무게가 가벼워서 더 빨리 사라지는 향수의 미들노트처럼, 그리고 그 특정지역에 처음 갔을때의 공기에서 느껴지는 그지역의 첫느낌은,  무게가 가벼워 가장 빨리 사라지며  향수의 첫인상이라고  불리는 탑노트로 해석한다.
이러한 해석을 토대로 아이슬란드 북부에 생선산업을 주로하는 작은도시에서 인지했던 후각적 경험과 심리적 ,정서적 반응을 더불어 그장소의 기념비적인 의미와 분위기에 대한 의문들을 작업에서 풀어나갔다.
결과적으로 나의 작업물들은 기억에서 파생된 현재의 모습을 제시함으로써 개인 혹은 집단에게 의미있는 장소에 대한 허구와 사실간의 묘한 관계를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EXHIBITIONS

Solo
2024            '타미와 다미', 탐 앤 탐스 블랙파드점, 남양주
2024            '김종2와 관객들', 서진아트스페이스, 서울
2021            '순간의 고백' , 우민아트 센터 프로젝트 스페이스, 청                           주.
2021            'CICA', CICA Museum, 경기도.
2021            '유리프 마을' , 교보생명 빌딩 , 광화문, 서울.
2021            '김 작가의 방', 명파 DMZ 비치 하우스 205호, 고성 ,                           강원도.
2021            '파나스', 파르나스 타워, 강남, 서울.
2021            '코가 앉은 자리'. 한국미술진흥원, 서울.
2016           '1986 모노 인출기', 초대공모,너트 갤러리,서울.
2015           ‘Dr.Kim’, 초대공모,사이아트 갤러리,안국,서울.
2011            ‘살롱B’  ,Toilet 갤러리, 킹스턴 , 런던, 영국.
                   ‘Salon B’, Toilet Gallery, Kingston, UK.
Group
2024          덴아트 3인 기획전.'자화상' 덴아트갤러리, 인천
2024          2024큐비트미술, 이화여자대학교양자나노과학연구단
2024          '재건:리제너레이션', 언바운드 아트페어,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2024          'WAVE 아트페어 프리뷰'. WAF 갤러리, LCT. 부산.
2023         '2023  아시아프'. 홍익대학교 현대 미술관. 서울.
2021           '원주 아트 페어', 치악 예술관, 강원 문화 재단, 원주.
2020           '제5회 서리풀 아트 포 아트 대상전, 한전아트 센터 갤러리,                         서울.
‌2020           '2020 Abstract Mind', CICA 미술관, 경기.
‌2019           'KBEE 2019', 방콕 한류 박람회, 방콕.
2019           ‘[KOTRA 아트콜라보]우수사례展 ‘, 코트라 무역 센터,서울.
2018           '제 3회 서리풀 아트 대상전' 한전 아트 센터, 서울.
                   '한국 현대 작가전' 조선일보 미술관, 서울.
                   ‘2018 코트라 아트 콜라보레이션’, 코엑스, 서울.
2017           '끝난 전시 다시보기: A/S (After Show)', 서교 예술 실험 센                       터,서울
  
‌2015           '광화문 연가' 광화문 국제 아트 페스티벌 GIAF
                   세종문화회관 세종 미술관 2관,아띠, 서울 경기문화 
‌                   컨텐츠 코리아랩  Art Play Ground 선정 작가전 '경기 창조                      혁신 센터 7층 새벽별, 분당
2014            슬레이드 쇼 2014  ,런던, 영국.
                   ‘Slade Shows 2014’, UCL, London, UK.
                   ‘4482’ , 바지하우스, 옥소타워, 런던, 영국.
                   ‘001 활동’, 라이플 메이커 갤러리, (Riflemaker 
                   Gallery)소호,런던,  영국.   
2013           ‘이스트런던 디자인 쇼’,  올드 트루먼 베어리 빌딩, 
                   (Old Truman Brewery)런던, 영국.   
                   ‘인터림쇼’ (interim) 우븐 리서치 센터, 런던, 영국.
                    오픈 스튜디오, 리스투스 갤러리, 올라퓨스 퓰도르,
                    아이슬란드.   
                    Open studio ‘Listhus gallery’, Ægisgata, 6,
                    Ólafsfjörður, Iceland.
                    공모 초대전, ‘네오 아트 프라이즈 2013’, 볼튼, 영국.
                    Final selection in “Neo: art prize 2013”, Bolton,  2012 '신                       진작가  초대전' 아트피플 갤러리, 인사동, 서울.
 2011           '신진작가 초대전' 신상갤러리, 인사동, 서울.
                   '킹스턴 디그리쇼' 트루먼 베어리 빌딩, 런던.
2009          '초대옥션' 각갤러리, 인사동 , 서울.
2009          '신진작가 초대전' 각갤러리, 인사동 , 서울.  


박종철

‌박 경의
기억의 일류젼(Illusion), 그 감각(感覺)의 조형성(造形性)
 일찍이 논리적인 줄거리를 외면하고 심리주의(心理主義)소설을 창시(創始)하였으며 20세기의 새로운 문학의 장을 연 프랑스의 마르셀 프루스트(Marcel Proust; 1871-1922)는 그의 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에서 ‘유년기(幼年期)의 기억(記憶)’을 비논리적(非論理的)인 지각(知覺)에 의해 기록(記錄)하였으며 초현실주의(超現實主義)의 원류(原流)였던 스페인의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i; 1904-1989)는 일치하지 않은 시(時), 공간(空間), 그리고 장(場)을 편집(編輯)하여 구성(構成)함으로서 새로운 미술사(美術史)를 정립(定立)하였다. 우리의 삶과 역사는 일상(日常)의 양태(樣態)에 따라, 정의(正意)와 진실(眞實)의 오류(誤謬)에 따라, 그리고 기억(記憶)의 일류젼(Illusion)에 따라 오도(誤導)되어질 수 있다.
박 경은 이러한 삶과 역사(歷史)에 따를 수 있는 부조리(不條理)를 인식하고 경계(警戒)하며 성찰(省察)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서 시(視), 청(聽), 후각(嗅覺) 등 오감(五感)을 유기적(有機的)으로 연계(連繫)시키고 시각화(視覺化)시켜간다. 논리보다는 감성(感性)과 기억의 가변성(可變性)을, 기억속의 공간과 오감의 실마리를 연계시키며 심층적(深層的)으로 분석, 전개, 재구성(再構成)해간다. 잘못된 기억과 기록(記錄)이 사람들의 분쟁(紛爭)은 물론 이념적(理念的)인 갈등(葛藤)까지 야기 시킬 수 있음은 현대(現代)를 살아가는 문명인(文明人)의 이기심에서 오는 필연적인 소산물(所産物)인지도 모른다. 박 경은 현대인들의 문명에 은닉(隱匿)된 일류젼으로 인한 혼돈(混沌;Chaos)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명분(名分) 외에, 작가 자신이 살아온 삶의 흔적(痕迹)들과 경험(經驗)에 의한 사물(事物)들 - 인간, 물질, 익숙한 공간, 향기 등 - 을 서정적 감성(抒情的感性)으로 승화(昇華) 시키고 추상화(抽象化)시켜간다.
박 경은 자신의 조형적인 방법론(方法論)을 심화(深化)시키기 위해서 후각의 심층적 연구에 몰입하였으며 그 일환으로 마침내 향수(香水)를 연구(硏究)하고 제작(製作)하기에 이르렀다. 작가는 유년기(幼年期)에 모친(母親)의 헤어샵에 걸린 어느 작가의 그림을 봐 왔었으며 영국 유학(遊學) 길에 오른 후, 문득 그 작품의 키 칼라(Key Color)는 청색(靑色)이라고 인식하곤 했었다... 그 인식은 각인(刻印) 되어졌으나 막상 유학생활을 마치고 귀국해서 확인(確認)한 그 작품의 주조색(主調色)은 빨강색임을 알게 된다. 그 형상과 색상의 착각(錯覺)의 원인을 유추(類推)하고 체험하기 위해서, 게슈탈트(Gestalt)심리학(心理學)과도 관련(關聯)시키기 위해서, 다시 유학길에 오른 작가의 열정(熱情)은 무엇이 아티스트의 미덕(美德)인지를 생각하게 해준다. 작가는 착각이 시, 공간과의 복합적(複合的)인 관계와 세월의 흐름 속에서, 특히 향기(香氣)를 비롯한 다양한 후각의 영향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에 있음을 인지(認知)하게 된다. 입체와 평면, 설치와 퍼포먼스, 그리고 개념적(槪念的)인 것들의 가시적(可視的)이고 형이하학적(形而下學)인 표현을 위해 다양한 오브제를 등장시키고 연출도(演出) 마다하지 않는다.
바닐라 향, 촛불, 심지꽂이, 울트라머린 안료(Ultramarine Pigment), 다양한 향, 비즈왁스(Beeswax), 수제 오일 향, 아크릴, 육면체(六面體)등을 이용하며... 안락감 있는 코너의 벽에 미리 향을 발라놓고 두 개의 심지꽂이에 불을 붙이면 안료와 향, 그리고 왁스가 벽을 타고 흘러내리게 되고... 시간차에 따라 향의 농도(濃度)가 달라지는 등, 이른바 오토머티즘과 개념적인 퍼포먼스를 접목한 복합적인 예술이 창출되어진다. 유년시절부터 각인된 기억을 되살리며 블루를 위한 회고(回顧)를 위해 육면체 속에 청색 안료와 향을 넣어봄으로서 후각의 편집과 연구에 심혈을 기울이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기억의 허구성’, ‘감각의 프리즘’, ‘향기의 시각화’를 지향(志向)한다는 작가의 주장과 그 창조적(創造的)조형성을 주목하며 기대해본다.

글; 박종철(미술평론,칼럼니스트)

성진민

기억이 그려낸 형상의 단층들
작가 박경은 자신이 경험하고 느낀것들을 비 형상적 언어를  빌어 회화로 환원시키는 작업을 하고 있다. 그의 작업에 등장하는 색들의 단층적 구조는 켜켜이 올라 형상화된 기억의 덩어리들인 듯하다. 그래서 그 층층의 구조들은 마티 기억과 체험의 앙금들이 가라앉은 것과 같이 그 형태들을 이루어 내고 있다.  
사람들의 뇌는 실로 경이롭고 신비롭다. 예를 들면 여러명이 같은 공간에서 동일한 경험과 체험을 공유해도 각각의 기억이 서로 다른것을 겪은 저기 있을것이다. 왜일까?
그것은 오히려 과학적 증거와 주장에 앞서 필자의 생각으로는 (이걱이 절대적 논고라는 뜻은 결코 아님을 밝혀 두고 싶다.) 사람의 기억, 즉 메모리 장치에는 그 시점의 감성과 상황 혹은 기대치의 반작용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우리는 그 기억의 저장고에 그러한 재료들이 엉겨있다가 기억이라는 버튼이 눌러짐과 동시에 표면위로 떠오르게 된다. 
추억과 기억은 다르다. 그래서 Memory와 Remember의 차이는 분명하다. 그래서 작가는 그 기억이라고 부르는 바로 그 지점에 추억과 혼재된 과거의 잔상들이 지층의 구조를 만들어 내고,  그 저장고에 증거를 작업으로 옮겨 스캔하고 있다. 작가가 들여다본 기억속 스캐니의 단층구조는 단색화된 평면젹 패턴속에 올라간 색감과 지층의 구조들이 자연스레 흘러내려 넓게는 또는 가늘게 색띠를 형성하기도 하는 등 마치 기억의 무지개떡과 같은 구조를 이루어 내고 있다. 이러한 작업은 작가가 유학시절 낯선 환경 속에서 조우했던 초상화에 대한 기억으로부터 시작되었는데, 막상 한국에 돌아와 실제의 그 초상화를 보니 기억속의 초상화와 실제는 전혀 다른 것임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한 경험이 이러한 실제와 기억의 간격을  이야기 하는 작업의 단초가 된듯하다. 
기억은 경험과 개인의 그 시간적 공간적 상화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 아니 거의 좌우된다고 해도 크게 틀린 말은 아닌듯하다. 그 이유인즉 한번의 기억을 간직하고 읽어주는 뇌의 인지증력은 감각과 감성의 채널도 동반하기 때문일 것이다. 예를 들어 그 시간, 그 장소에 봄바람을 타고 흩날리던 연분홍 꽃비 사이로 풀냄새도 함께 우리의 뇌속에 그려지고 바로 그 찰라, 저 먼곳에서 붉은 색 자전거를 유유자적 타며 휘파람을 불고 지나가던 그 기억속의 모습은 뇌의 중간 어느 지점에서 기억으로 반응하고 추억처럼 카메라의 샷과 같이 한컷으로 찍혀진다. 따라서 우리의 뇌는 시각뿐만이 아니라 기억은 후각과 청각 모두를 일깨우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시간, 우리는 뺨을 스치던 살랑한 봄바람의 냄새마저도 동반하여 기억의 무중력 속을 더듬거리며 추억으로서 회유하게 만드는 것이 아닐까. 대체 우리가 기억하고 있는 기억이라는 저장고에 연분홍 따사로운 봄바람은 어디까지가 실존이고 어디까지가 추억인가, 작가는 길을 묻고 있다. 

갤러리 너트 성진민

이승훈

기억에 지탱하고 있는 감각들에 대하여
박경 작가는 기억에 대해 고찰하는 가운데 기억이 허구적인 경우를 발견하게 되면서 감각하는 것과 기억하는 것과 사이에서 그와 관련된 영역을 탐색하고 이에 대한 감각의 담론들을 시각화 하는 작업을 해오고 있다.

작가는 기억이 허구적일 수 있다는 점에서 소설과 같은 허구적 설정을 통하여 기억을 자신의 방식에 의해 시각적으로 재구성한다. 사실 기억이라는 것은 감각의 수용기관을 통하여 전달된 감각적 인식들을 저장한 것이며, 그렇게 정장된 기억은 시간의 진행과 함께 점차 망각으로 진행 되거나 변형되어 착각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러므로 기억은 불완전할 수 밖에 없고 기억된 정보를 회상하는 과정에는 정보의 손실과 변형으로 인하여 전도의 차이가 있을 뿐 허구적인 기억으로 재생될 가능성이 많은 것이다.
작가는 이 때 기억을 변화시키거나 기억을 다시 되살리는 요소를 발견하게 된다. 그것은 기억이라고 할때 일반적으로 떠올리는 공간을 기반으로 한 시각의 감각이 아니라 맛이나 향과 같은 미각이나 후각과 같은 다른 감각들이었다. 마치 빙산에 있어서 수면 위로 떠오른 산을 지탱하는 것은 그것을 구성하는 다른 많은 부분들이 있는 것처럼 시각을 근거로 하여 공각적인 상황을 기억해 낼 때 그 저변에 있을 법한 다른 감각을 찾아 나선것이다.
그래서 작가는 조향을 배우는 등의 방식을 통하여 수면 위로 떠올라 있는 기억의 현상적인 이미지보다는 그 현상을 지탱하고 있는 숨어있는 세계를 찾아내고 기억을 발생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향기와 같은 기억의 기반이 되는 다른 감각의 정보들은 기억이 망각화 되거나 변형되는 과정에서 희미해진 이미지들을 다시 복원시키거나 새롭게 재구성해내는 힘이 있다고 본것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이와같은 관점에서 시각적 감각의 지반 아래를 드러내는 작업을 보여주게 된다. 그가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작업은 주로 회화작업이다. 구체적이고 지시적인 형상적 대상이 생략된 화면에는 색과 질감 그리고 붓의 움직임만을 느낄수 있다. 그래서 무엇을 시각적으로 부기위한 장소라기 보다는 소리나 향기나 맛과같은 다른 감각들이 자극되는 공간으로 다가온다. 그래서 작가가 그려낸 무언가를 보고자하는 관객이 있다면 그 무언가를 알아채기는 어려울 것이다. 대신 그 무언가가 부재한 그 곳에서 색과 질감과 터치로 채워진 화면을 마주한 관객은 자신이 그것을 느끼는 감각에 대해서만 확인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관객들은 박경 작가의 작업에서 그가 전시 주제로 제시한 바와같은 Dr.Kim을 찾을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다시 돌이켜보면 Dr,Kim이 부재한 그것에서 허구적 존재일수 있는 그 사람의 향기나 촉감 혹은 음성이 어떤 느낌일까에 대한 상상을 시작할수도 있을 것 같다. 혹은 이때 자신이 만났던 사람에 대한 기억을 떠오르게 될지도 모른다. 아마도 Dr.Kim은 이처럼 다른 감각에 의해 재구성되어 관객의 눈 앞에 기억으로부터 홀연히 떠올려져 심상 (Mental Image)이 되어 다가오게 될 것 같다는 생각에 이르게 된다.

사이미술 연구소 이승훈


BIOGRAPHY

Painter
Olfactory artist
EDUCATION
2009 Bachelor of Painting, Hong-ik University, Seoul
2011 M.A degree Art and Space (with distinction),Kingston University, London
2014 M.F.A degree Painting, Slade School of Fine Arts, UCL, London

RESIDENCIES & AWARDS
2020 Awarede in 5th Seo-ri pul Art for Art, Seoul
2018 Awarded in 3th Seo-ri pul Art for Art, Seoul
2013 Neo Art Prize short- listed, Bolton,UK
2012 Awarded in 'New Artists' Art people gallery, Seoul
2013 Residency , Lithus Gallery,Iceland
www.Lithus.com

Lecturer
2014 Guest Lecturer, 'Scented Space', Kingston University, London

Press
2015 Guide of Exbition  201509vol.112 ' An Illusion of Memory and a Sense of Formativeness' columnist Jong Cheol Park.
2014 'Art in Flux - Visual Art Trader', UK
 www.artinflux.co.uk/slade2014
'Aesthetica Art Directory' ,York, UK
'Slade Sound Project', London
'Slade Recipe Book', London
'North Observatory Project' Edward Winter, London

Collection
2021 Myeong Pa DMZ Beach House,Gangwon Art&Culture Foundation, Gangwondo
2018 Hotel Lotte  Seoul

학력
2009  홍익대학교 회화과 학사 졸업
2011  영국 런던, 킹스턴 대학교 아트 앤 스페이스 석사 졸업
2014  영국 런던, 슬레이드 스쿨 오브 파인 아트 회화과 석사                 졸업

수상 및 경력
2024   제9회 서리풀 아트포 아트 대상전, 특선,입선, 한전아트            센터, 서울
           아트코리아 국제미술 대전 그린상, 서울
           2024 큐비트 미술공모전 3등 수상, 이화여자대학교 양              자 나노과학연구단, 서울 
2021   한국 미술 진흥원, 서양화부문 특선, 서울
2020   제5회 서리풀 아트 포 아트 대상전, 특선, 한전아트센터,             서울
2018   제 3회 서리풀 아트 대상전, 입선 , 한전아트센터, 서울
2013   네오아트프라이즈 2013후보자,볼튼, 영국
2012   신진작가전 입상, 아트피플 갤러리, 서울

레지던시
2013   레지던시, 리스투스 갤러리,아이슬란드
            www.Listhus.com

 강의
2014  초대강연 '향의 공간',킹스턴 대학교, 런던

출판
2015  월간 전시가이드  201509vol.112 박종철 칼             럼.’기억의 일루전 그 감각의 조형성’
2014  ‘아트인플럭스-비주얼아트 트레이더’. 영국 
           www.artinflux.co.uk/slade2014
‘          에스테티카 아트 디렉토리’ , 요크, 영국                      www.aestheticamagazine.com                  
2014  ‘슬레이드 사운드 프로젝트’, 런던
2013   ‘슬레이드 석사 리서치’ 런던
           ‘슬레이드 레시피 북’, 런던
           ‘북쪽 관측대’ 그룹 프로젝트,에드워드윈터

소장
2024   큐비트 미술 공모전 수상및 소장,이화여자대학             교 양자나노과학 연구단, 서울
‌‌2021   명파 DMZ 비치 하우스 205호 소장, 강원문화             재단,강원도.
2018   롯데호텔 서울.
            외 개인소장 다수

선정
2021   DMZ Re:makers 문화예술삼매경 선정작가
2020   아트숨비 선정작가
박 경  / KYUNG PARK / 朴 京 / 1983년 

CONTACT

Telephone
( 82) 010 9064 5437

General & new business inquiries
‌nanpikaso@gmail.com

Address‌
92, Hyeoksin-ro, Wonju-si, Gangwon-do
‌Seoul, South Korea

WHY NOT SAY HELLO?

SUBMIT FORM